LK-99로 새 영상 다시 올림, 무려 뉴욕타임즈에
학계 검증 계속 받는 중이라고 함 (특정 온도에서 전기저항 0인건 중국팀이 이미 검증함)
유튜브(안될과학)에서 팬으로 미는거 따라하니까 이번엔 자석자체를 돌리면서 이거도 따라해봐 하는거 같은데
저 영상이 시사하는바가 뭔지 아주 간단한 핵심 포인트만 알려줌
1. 온습도계 - 기본적으로 상온에서 작동하는거 보여줌.
2. 자석판 회전 - 샘플이 동작 하는거 보여줌
일단 뜬 모양만봐도 인력은 아니니까 안될과학에서 말하던 강자성체 운운은 나가리고(강자성체면 저렇게 미세하게 붙어서 못뜸)
그럼 반자성체 or 초전도체 마이스너 현상인데, 회전 각도가 서로 다르므로 샘플 영상을 봤을때 초전도체일 확률이 높다라고 보면 됨
↑ 리투아니아 대학 교수는 이 영상을 보고는
"반자성체는 절대 아닌 것 같다" (Does not look like diamagnetism at all.)
라며 초전도체에 한표보냄
+ 저항 0인거 재면 끝 아니냐고 하는데 그렇게 간단하게 검증되는게 아님, 그래서 오래 걸리는거
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↓
마이클 퓌러 교수의 LK-99에 대한 의견
링크 : https://twitter.com/MichaelSFuhrer/status/1686644227885944833
최근에 상온 초전도체 잔치에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는 것 같습니다.
이 사건의 기나긴 역사를 잘 모를 것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문화적 차이로 소통의 어려움이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습니다.
1/
초전도체가 존재할 수 없다는 설명은 없습니다.
하지만 어떻게 의도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도 모릅니다.
전통적인 phonon-mediated BCS 와 같은 방식으로는 확실히 만들지 못할 것입니다.
2/
따라서 이 예상치 못했던 기이한 물질에 대한 발견은 기쁜 일일 수밖에 없습니다.
하지만 그런 물질에서 매우 낮은 저항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반드시 초전도성을 의미하는건 아닙니다!
3/
초전도성을 감지하기 쉬울 거라고 생각하고 계실겁니다. 전기적 저항이 0이니까 저항을 측정해서 0이면 끝. 라고 생각했다면 함정이 아주 많습니다. (글타래 하나에 다 담기 힘들 정도로!)
4/
일반적으로 최근 보고들에서 여러 초전도성에 대한 증거들을 보았을 겁니다. 마이스너 효과, AC 자화율, 임계 자기장, 임계 전류, 단일 입자 터널링 갭, 임계온도치에서의 비열 도약, 조셉슨 터널링...
5/
AC 조셉슨 효과, 등등. (논문 하나에 이 모든 내용이 담겨있지는 않겠지만 보통은 저항 0에 더해 몇가지가 덧붙여져 있을겁니다)
출처
https://bbs.ruliweb.com/community/board/300143/read/62504554